Surprise Me!

[김대호의 경제읽기] 빨라진 금리인상 시계…테이퍼링 공식화 시점은

2021-06-18 0 Dailymotion

[김대호의 경제읽기] 빨라진 금리인상 시계…테이퍼링 공식화 시점은<br /><br /><br />국제 금과 은 가격이 하락하는 등 원자재 가격이 요동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가 조기 금리인상 가능성을 시사한 것이 주요 배경으로 꼽히는데요.<br /><br />관련 내용 살펴보겠습니다.<br /><br />연준의 금리인상 시기 전망이 당겨진 배경에도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지난 3월 회의 때와 비교해 달라진 연준 입장 짚어보고,언제쯤 긴축에 나설지, 전망해보겠습니다.<br /><br />좀더 자세한 내용 김대호의 경제읽기에서 살펴보겠습니다.<br /><br /> 국제 금과 은 가격이 하락하는 등 원자재 가격이 요동치고 달러 가격이 강세를 보이고 있습니다. 미국 연준의 조기 금리 인상 시사가 주요 배경으로 꼽히고 있는데 어떻게 보고 계신가요? 8년 전 금리 인상기 때도 이런 가격 변동이 있었나요?<br /><br /> 지난 3월 회의 때만 해도 금리를 올려야 한다고 본 연방공개시장위원회, FOMC 위원들은 7명에 불과했는데 이번 회의에선 18명 중 13명이 2023년에 금리를 인상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. 입장이 달라진 가장 큰 요인은 무엇일까요?<br /><br /> 그렇다면 연준이 언제쯤 긴축에 나설지 궁금합니다. 연준은 이번 회의에서 자산매입 축소, 즉 테이퍼링 논의 가능성도 시사했는데요. 먼저 이 테이퍼링이 뭔지 한번더 설명해주신다면요.<br /><br /> 증권가에선 연준이 이미 테이퍼링 논의를 시작했다며 주요국 중앙은행 총재들이 참석하는 오는 8월 잭슨홀 미팅, 9월 FOMC 등에서 테이퍼링을 공식 발표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오고 있는데요?<br /><br /> 미국의 테이퍼링 전망에 브라질을 비롯해 러시아, 터키 등 주요 신흥국들은 속속 금리 인상에 나서고 있습니다. 왜 그런거죠?<br /><br /> 한국은행과 기획재정부는 FOMC 결과에 따른 국내 시장 동향을 주시하고 있습니다. 미국의 금리 인상 가능성과 신흥국발 위기의식에 따른 여파가 나타날 수 있기 때문인데요. 금리 인상이 본격화하면, 환율과 증시는 어떤 영향을 받을까요? 가계부채 문제는 괜찮은지 궁금합니다?<br /><br /> 다음으로 몇가지 경제뉴스들 더 짚어보겠습니다. 미국 정보기술, IT 업계에서 오바마 행정부 시절 누린 영광의 날들이 이제 옛날이 됐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습니다. 바이든 대통령이 리나 칸을 미국 연방거래위원회 위원장에 앉혔기 때문인데요. 어떤 인물이기에 이런 분석이 나오는 건가요?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

Buy Now on CodeCanyon